파란별한의원 임종우입니다.
양진이라는 용어는 생소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가 가렵고
습진처럼 짓무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인에 의한 이름이 아니라
피부 질환의 양상에 따른 이름입니다.
[출처 : 피부 질환 임상 아틀라스]
바로 전 글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특징적인 것이
손이 닿는 부위에 상처가 유독 관찰됩니다.
피부 한 부분이 가렵다기보다는
전신이 가려운데
손이 닿거나
아래의 사진처럼
여성분들의 경우 위에 착용하시는 속옷 압박 부위
남성분들의 경우에는 아래에 착용하시는 속옷 압박 부위에
자주 더 보입니다.
그럴 때는 피부 색상이나
오래된 기간을 보고
도인 홍화 등의 약재도 고려하게 됩니다.
당연히
사진처럼 피부 상태만 보고 처방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해당 부위의 증상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특히 압박 부위에만 오래되었다면
다른 처방들을 고려하고
제외가 가능하다면
어혈제 등을 고려합니다.
[출처 : 피부 질환 임상 아틀라스]
다시 반복해서 언급 드리자면
제 블로그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이해가 조금 빠르실 수 있습니다.
피부 증상의 패턴이 모양이 특이합니다.
딱 저렇게 생기기도 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긁는 형태에 의해서
변형된 2차적인 형태입니다.
[출처 : 피부 질환 임상 아틀라스]
땀이 차는 부위나
그래서 여름철이나
반대로 겨울철에 두꺼운 압박되는 내복 등을 입을 때
발생이 더욱 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항히스타민제
두드러기 약
비염약
등을 복용하시고 내원하십니다.
위에서 언급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시고
호전되시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뵙는 분들은 아예 반응이 없거나
약의 용량이 느는 데
반응이 없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면역억제제 처방전을 들고 오시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그럼 어떻게 할 것이냐.
근무 환경 생활패턴 음식 습관 정신적인 연관성 파악
1. 소화기 -> 피부질환
2. 피부 예민도 증가 -> 피부질환
3. 정신적 예민도 증가 -> 피부질환
4. 실내 생활 피부 투과성 부족 -> 피부질환
5. 수면 부족 -> 피부질환
6. 춥다 -> 피부질환
7. 모르겠다 -> 피부질환
이러한 식으로 유형을 구분하게 됩니다.
그리고
체형이나
여러 가지 상담을 통해 파악된 정보를
다시 재차 확인하고
용량 조절을 하고
좋은 약재를
최적의 구성을 통한 처방으로
가능한 목표가 확실한 처방을 통해
빠른 반응을 확인합니다.
모든 의료진이 그렇듯이
저 역시
이것저것 다 처방하려 하지 않고
필요한 용량
필요한 조합을
항상 고민합니다.
그야말로 저울질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특히 피부질환의 경우에는
외용제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좋은 기성 제품의 경우에는 제가
직접 사용해 보고 추천해 드리고
그 정도가 아닌
정말 필요해 보이는 경우에는
저희가 직접 제작한 성분까지 공개하는
외용제를 처방해 드립니다.
질환에 대해서 글을 쓰면서
반복되는 내용이 많아지어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파란별한의원 임종우 원장이 하는 역할은
환우분들의 눈앞에
선택지가 주어지셨을 때
제가 아는 것만큼 해본만큼
A 방향으로 가셨을 때 어떤 길이 보이실 것이고
B 방향으로 가셨을 때 어떤 길이 보이실 것인지
최선을 다해 알려드리고
최선의 선택을 하시고
빠른 회복을 통해서
의료기관에 가시는 일이 줄어드실 수 있게
치료해 드리고
필요시
최적의 대안을 제시하여
도와드리는 것입니다.
원내에서 뵙겠습니다.